-->

[리눅스] 우분투에 ssh-server 설치하고 XShell로 원격 접속하기

반응형

우분투에 ssh-server 을 설치하고 XShell이라는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사용해 원격 접속을 하는 과정을 정리한다. 굳이 서버를 설치하고 원격 프로그램으로 접속하는 이유는, XShell 이 엄청나게 편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사실 ssh-server 설치 과정은 매우 간단하고 XShell 프로그램 추천이 목적이다ㅎㅎ

 

 

패키지 업데이트

처음 리눅스를 설치한 경우에 패키지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그러니 먼저 패키지 업데이트하는 것을 추천한다.

 

sudo apt-get update

 

위 명령이 부담스럽다면, (전체 패키지를 업데이트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요한 패키지만 골라서 설치할 수도 있다.

 

apt-get install --only-upgrade openssh-server

 

 

우분투에 ssh 서버 설치

참고로, 클라이언트->서버(우분투) 접속이기 때문에 ssh-client는 설치되어 있어도 소용없고  ssh-server를 설치해야 한다. 컴퓨터를 변경하거나 새로 리눅스를 설치할 때마다 openssh-server인데 매번 ssh-server를 설치하고 왜 이게 아닌지 의아해하곤 하는 나도 참 신기하다.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간단히 설치 확인을 해보자. 현재 시스템에서 ssh가 돌고 있고 22번 포트도 열려있다.

 

sudo -s -ef | grep ssh
sudo netstat -antp | grep :22

 

 

XShell 원격 프로그램 설치

그럼 이제, 윈도우에서 XShell 프로그램을 설치해보자. 넷사랑 페이지에서 그냥 다운로드 부분이 아니라 아래 링크의 무료 라이센스 부분 다운로드로 가야 무료로 설치할 수 있다. 다운로드 과정은 간단하니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다.

 


넷사랑, XShell 원격 프로그램 설치

 

무료 라이선스

무료 라이선스 무료 사용자의 최고의 선택 Xshell과 Xftp 무료 라이선스는 성능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이에 필적할 만한 것이 없습니다. 어떤 것도 따라올 수 없습니다. 가정에서 개인 서버를 관리하거나 관리 기술을 연마할 수 있습니다. 저희 무료 라이선스는 개인적이고 비상업적 용도에 사용 가능합니다. 무료 라이선스는 인가된 교육

www.netsarang.com

 

 

XShell과 리눅스(우분투) SSH 연결 설정

이제 XShell로 우분투에 접속하는 일만 남았다. '파일>새로만들기' 에 들어가면 연결 설정에서 '일반' 부부을 채워주면 된다. 이름은 원하는대로 설정하면 되고 프로토콜은 SSH, 호스트는 접속하고자 하는 SSH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넘어가면 아래와 같이 SSH 보안 경고 창이 뜨면서 이 호스트 키를 수락하겠냐고 하는데 수락 및 저장을 해준다.

 

 

 

그리고 본인 리눅스에 저장되어 있는 계정을 차례대로 입력하면 된다. 원격 root 접속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root 로그인은 할 수 었다.

 

 

 

그리고 해당 계정에 해당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해준다.

 

 

 

 

XShell 글꼴, 글꼴 크기 설정

일단 XShell로 접속하는 이유 첫번째는 터미널이 조금더 가독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UI에 대한 커스터마이징이 조금더 간편하기 때문인 것도 있다. ('파일>현재 세션 등록 정보'로 들어가면 글꼴, 크기도 설정 가능하다). 나는 눈이 안좋아서 글꼴 크기를 최소 11로 해놓는 편이다.

 

 

 

XShell 세션 복제

내가 가독성이 좋은 것 다음으로 XShell을 좋아하는 이유는 '세션 복제' 때문이다. 가끔 여러개의 가상머신을 동시에 사용해야할 때, 혹은 터미널을 여러창을 띄어놓는 것이 필요할 때, vmware workstation을 사용하면 반응도 느리고 창도 왔다갔다거리고 불편한게 이만저만이 아니다. (컴퓨터 성능이 안좋아서 더 그런것일지도...)

 

 

아래와 같이 현재 연결된 세션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을 하여 세션 복제를 해보자.

 

 

 

아래와 같이 원하는 수만큼 분할시켜놓을 수 있다ㅎㅎ 분할시키고 싶은 세션을 마우스로 끌어다 원하는 위치에 놓으면 된다. (사실, 우분투도 터미널창을 원하는 대로 분리시킬 수 있긴 하다).

 

 

 

왜 이렇게 쓰는지 의아해하는 사람도 있었으나, 내 주변엔 이런 이상한 짓을 하는 사람이 상당수 존재한다. VMware Workstation에서 리눅스를 쓰는 것이 불편했던 사람에게 이 글이 혹했길 바라면서 포스팅을 마친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